nginx 3

(리눅스) log 파일 크기 조절하기 (원하는 크기로 잘라내기)

1. 로그 파일 초기화 시키기(파일은 그대로 존재) * 로그가 용량을 너무 많이 잡아먹고 있을 때 사용하면 좋음 # truncate -s 0 /home/ploi/abcd.test/storage/log/laravel.log ; 해당 경로의 파일의 크기를 0으로 만든다. (해당 파일은 그대로 존재) * 사용법) truncate -s [변경할 사이즈] [해당 파일의 경로] ; 만약 변경할 사이즈가 0이 아니면, 뒤에서부터 줄어든다 (늘리는 것도 가능 - 마찬가지로 뒤에서부터 늘어남) * 참고) 만약 해당 경로에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크기로 새로운 파일을 만든다. 2. -s 옵션 사용 방법 ; truncate 명령어에 -s 옵션 후 "K, M, G, T" 혹은 "KB, MB, GB, TB"를 통해서 원..

Back-end/Server 2021.11.02

(nginx) 가상호스트 연결 방법

nginx 가상호스트 연결 방법 설명) /etc/nginx/nginx.conf nginx 설치 시 다음 경로에 설정 파일이 존재한다. 구조) http { ... ... server { listen 80 ... listen [::]80 ... server_name ..... root ..... } } ; http 블록 아래 다수의 server 블록이 존재한다. server 블록이 가상 호스트의 개념이다. server 블록에서 해당 서버에 어떤 호스트 네임과 포트 번호로 들어왔는 지에 따라, 내가 원하는 디렉토리로 연결시켜 줄 수 있다. 이를 활용하면, 한 서버에서 여러 사이트를 운영할 수 도 있고, 다른 도메인으로 접속을 해도 한 사이트를 보여줄 수도 있다. * 다수의 server 블록 중 순서대로 위에서..

Back-end/Server 2021.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