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3

[GIT] GIT 전략 (1) - 일반 배포 프로세스

최근 회사 내에서 코드 관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GIT 브랜치 전략을 새롭게 정립해보았다. 기존에는 브랜치 운영 방식이 명확하지 않아 협업이 비효율적이었고, 배포 과정에서도 혼선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Git 전략을 도입하고 정리한 내용을 공유해보려고 한다. 먼저, 1차로 일반적인 배포 프로세스를 정리하고, 이후 2차에서는 Hotfix 처리 방식을 다룰 예정이다. 또한, 이번 작업을 정리하며 Excalidraw라는 서비스로 브랜치 전략을 도식화했는데, 시각적으로 정리하기에 매우 유용한 도구였다. 추천할 만한 서비스인 것 같다.Git 브랜치 전략 개요기본 브랜치기본적으로 운영되는 브랜치는 개발(Dev) → 스테이징(Stage) → 운영(Live) 흐름을 따릅니다.dev 브랜..

[Git] 깃 체리픽을 통해 실 서버 배포 후 충돌날 때 이력 맞추기.

※ 깃 체리픽을 통해, 테스트 브랜치 작업 도중에 실 서버 브랜치에 일부를 먼저 푸쉬할 수가 있다. (테스트 브랜치 작업 도중에, 실서버에 급히 배포해야 되는 건이 생겨 체리픽을 통해 배포했을 경우) 이때, 테스트 브랜치에 대한 작업을 끝내고 실서버에 배포하려고 하면 이력이 맞지 않아 Push를 할 수 없다. [ 처리 방법 ] ※ 테스트 브랜치 - main, 실서버 브랜치 - release 로 가정. 1. 로컬 저장소에서 release 브랜치로 checkout $ git checkout release 2. 원격 저장소의 release 브랜치와, 로컬 저장소의 release 브랜치의 이력을 맞추기 $ git pull origin release 3. 체리픽을 통해 추가한 commit사항 취소하기 $ git ..

Git 명령어 총 정리

1.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 name" ; 전역 사용자 명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 emaill" ; 전역 사용자 이메일 설정 --global을 제거해주면 저장소 별 사용자명/ 이메일 설정 git config --global --list ; 전역 설정 정보 확인 --global 제거 -> 저장소 별 정보 확인 2. 기본 명령어 git status ; 파일 상태 확인하기(아래 그림 참고) git add ; 해당 파일을 staging area에 올린다. git commit -m "" ; 스테이징 영역에 올라간 파일들을 Unmodified 상태로 변경 사진 설명 ; 1. 워킹 디렉토리는 크게 Untracked와 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