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Server

(리눅스) mount 란 무엇인가? mount 옵션 정리

개발자 케빈 2021. 11. 13. 14:15

1. 마운트 (mount) 란?

 

: 리눅스에서 여러가지 하드웨어 장치들을 사용하기 위해 리눅스라는 운영체제에 인식시켜야 하는데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작업.

 

2. mount 명령어 사용법

: mount [-fnrvw] [t 파일 시스템 종류] [-o 옵션] 디바이스명 디렉토리명

 

2-1. [ -fnrvw] 옵션

  -f : 실제 시스템 호출은 하지 않고 마운트 할 수 있는지 점검

  -n : /etc/mtab 파일에 쓰기 작업을 하지 않고 마운트

  -r : read only

  -v : 자세한 정보 출력

  -w : read, write 모두 가능

 

2-2. 파일 시스템 (마운트할 장치에 맞게 사용)

  -vfat : Window 95, 98, NT 파일 시스템

  -ext2 :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

  -ext3 : ext2 + 저널링 파일 시스템(파일 복구 가능)

  -nfs : Network, File System의 약자 NFS 서버 공유 디렉토리를 mount 할 때 사용

  -cifs : 윈도우 공유 파일에서 쓰는 파일 시스템

  -iso9660 : CD-ROM의 파일 시스템

 

2-3. [-o] 옵션

  -default : rw, suid, dev, auto, nouser, async 옵션이 선택됨.

  -ro : read-only, 읽기 전용으로 mount

  -rw : read-write, 일기 쓰기 모두 가능

  -auto : -a 옵션으로 mount 할 수 있게 됨 ( auto 옵션이 장치 자동 mount)

  -noauto : -a 옵션으로 mount 되지 않음.

  -exec : 실행파일의 실행이 가능하도록 mount

  -noexexec : exec옵션과 반대

  -user : 일반 사용자의 mount를 허용

  -nouser : 일반 사용자의 mount를 거부

  -async : 파일시스템에 대한 입출력이 비동기적으로 이루어지게 됨

  -sync : 파일시스템에 대한 입출력이 동기적으로 이루어지게 됨

  -remount : 이미 mount 된 파일 시스템을 다시 mount함.

  -dev : 파일 시스템의 문자, 블럭 특수정치를 해석

  -suid : setuid, getuid의 사용을 허가

  -nosuid : setuid, getuid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음.

  -umask : mount된 디렉토리에서 새로 생성하는 파일과 디렉토리 퍼미션의 default값을 지정